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2008년 작, 영화 <걸어도 걸어도>는 한여름, 가족의 일상을 담담하게 그려내며 삶과 죽음, 기억의 본질을 탐구합니다. 특별한 사건 없이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발견되는 미세한 감정의 파동을 통해 관객에게 깊은 사유의 시간을 제공합니다.
한여름의 하루, 가족이라는 이름의 풍경
영화 <걸어도 걸어도>는 2008년 개봉한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작품으로, 그의 자전적 경험이 깊이 투영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베 히로시, 나츠카와 유이, 키키 키린, 하라다 요시오 등 일본을 대표하는 배우들이 출연하여 섬세한 연기 앙상블을 선보입니다. 115분의 러닝타임 동안 영화는 15년 전 세상을 떠난 큰아들 준페이의 기일을 맞아 오랜만에 한자리에 모인 요코야마 가족의 24시간을 담담하게 따라갑니다. 차남 료타(아베 히로시)가 아들이 딸린 재혼한 아내 유카리(나츠카와 유이)와 함께 부모님 댁을 방문하면서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무뚝뚝한 의사 출신 아버지(하라다 요시오)와 상냥하지만 어딘가 날카로운 구석이 있는 어머니(키키 키린) 사이에서 료타는 여전히 겉도는 존재입니다. 영화는 극적인 갈등이나 사건 대신, 함께 음식을 만들고, 사소한 대화를 나누고, 과거를 회상하는 평범한 일상의 순간들을 통해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내면과 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보이지 않는 감정의 벽을 세밀하게 포착합니다.
닿을 수 없는 거리, 부모와 자식의 시간
<걸어도 걸어도>가 탐구하는 핵심 주제는 가족, 특히 부모와 자식 간의 애증과 소통의 부재입니다. 영화 속 인물들은 서로 사랑하지만, 각자의 상처와 기대로 인해 온전히 서로를 이해하지 못합니다. 아버지는 의사가 되지 않은 차남 료타에게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어머니는 모든 것을 기억하고 있다는 듯한 말로 은연중에 가족들을 압박합니다. 료타는 뛰어났던 형의 그림자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어른이 되었고, 부모님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는 부채감을 안고 살아갑니다. 영화는 이처럼 겉으로는 평온해 보이지만, 수면 아래에는 각자의 후회, 원망, 그리움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가족의 실체를 드러냅니다. 특히 “인생이란 건 늘 이렇게 조금씩 어긋나는 거야”라는 대사는 영화의 정서를 관통합니다. 부모와 자식은 서로에게 가닿기 위해 노력하지만 언제나 한발 늦고, 끝내 전하지 못한 말들은 평생의 아쉬움으로 남는다는 삶의 보편적 진리를 조용히 역설합니다.
관조적인 시선과 일상의 미학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연출 스타일은 이 영화에서 정점을 이룹니다. 그는 인물들의 감정을 과장하여 전시하는 대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관조적인 카메라 워크를 통해 관객이 스스로 상황을 해석하고 감정을 이입하도록 유도합니다. 마치 다큐멘터리를 연상시키는 사실적인 연출은 영화의 몰입감을 극대화합니다. 특히 배우들의 연기는 일상 그 자체를 스크린에 옮겨 놓은 듯 자연스럽습니다. 故 키키 키린이 연기한 어머니 토시코는 자상함 뒤에 숨겨진 상실의 아픔과 미묘한 집착을 완벽하게 표현하며 극의 무게 중심을 잡습니다. 감독의 다른 작품인 <아무도 모른다>나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가 특수한 상황에 놓인 가족을 통해 보편적 질문을 던졌다면, <걸어도 걸어도>는 가장 평범한 가족의 모습을 통해 가장 깊은 공감대를 형성합니다. 이는 자극적인 설정에 의존하는 여타 가족 드라마와의 명백한 차별점이며, 일상의 순간에서 삶의 진실을 길어 올리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작가적 역량을 증명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맺음말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걸어도 걸어도>는 한 가족의 여름날 하루를 통해 삶의 희로애락과 관계의 본질을 섬세하게 그려낸 수작입니다. 뛰어난 연출과 배우들의 자연스러운 연기는 평범한 일상 속에 숨겨진 미세한 감정의 결을 포착하며 깊은 울림을 선사합니다. 이 영화는 가족이라는 이름 아래 존재하는 애증과 그리움,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삶의 가치를 되새기게 하는 작품으로, 관객에게 오랜 여운을 남깁니다.